본격적으로 작가노트를 살펴보면서 나의 작가노트를
어떻게 작성해야하는지에 대해서 생각해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각 예시는 창작의 목표, 작업 과정, 아이디어 정리 방식 등 다양한 접근을 반영하였습니다. 하나하나 읽어보면서 내 작품을 좀더 구체적으로 바라볼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것입니다.
1. 테마 기반 작가노트 예시
2. 기술 실험 작가노트 예시
3. 프로젝트 계획 작가노트 예시
1. 테마 기반 작가노트 예시
내용:
- 작품 제목: “시간의 잔상 (Echoes of Time)”_작품의 제목
- 작품 테마: 시간과 기억의 흐름
- 컨셉:
- 시간의 유한성과 무한성을 동시에 표현.
- 기억의 단편들이 그림 속 다양한 요소로 흩어져 있는 형식.
- 컬러 팔레트:_시간과 기억의 흐름을 표현하기 위하여 작가가 생각하는 색감
- 주 색상: 블루(시간의 흐름), 골드(기억의 소중함), 블랙(잊혀짐의 두려움)
- 보조 색상: 옅은 베이지와 회색 톤을 배경으로 사용.
- 구상:
- 주요 모티프: 모래시계, 깨진 거울 조각, 흩어진 나뭇잎.
- 중앙에 큰 시계가 있고, 시계의 중심부에서 모래가 흘러내리는 형상.
- 시계의 주위를 둘러싼 거울 조각들은 각각 다른 기억들을 나타냄.
- 작업 과정:
- 스케치: 시계와 거울 조각의 레이아웃 구상.
- 디지털 작업: 아이패드로 모래와 조각 표현 디테일 추가.
- 페인팅: 아크릴 물감을 사용해 블루와 골드 색감을 강조하며 캔버스에 표현.
- 최종 디테일: 모래시계에 반짝이는 골드 펄 추가.
- 메모:
- “모래의 흐름이 자연스럽게 느껴지도록 텍스처를 반복 실험해보기.”
- “거울 조각에 현실과 비현실이 섞인 이미지를 추가해야 함.”
2. 기술 실험 작가노트 예시
내용:
- 작업 주제: 빛과 그림자 표현 실험
- 아이디어 출처: 자연광이 들어오는 창가의 사진에서 영감.
- 컨셉:
- 빛이 사람의 몸에 비추며 투명하게 스며드는 효과를 표현.
- 그림자 부분은 구체적이지만 빛이 비치는 영역은 추상적으로 표현.
- 사용 재료:
- 캔버스(F50)
- 유화 물감 (화이트, 옐로우 오커, 울트라 마린 블루, 버밀리언 레드)
- 팔레트 나이프, 세필 브러쉬, 미디엄
- 작업 과정:
- 아이디어 스케치: 빛과 그림자의 대비를 중심으로 레이아웃 구상.
- 색 조합 실험:
- 빛 표현: 화이트 + 옐로우 오커.
- 그림자 표현: 블루 + 버밀리언 레드 혼합으로 깊은 톤 생성.
- 팔레트 나이프 사용: 그림자의 질감에 텍스처를 부여.
- 세밀 작업: 브러쉬를 사용해 빛이 닿는 부분에 부드러운 그라데이션 추가.
- 작업 중 발견:
- “옐로우 오커를 화이트에 섞으니 따뜻한 빛의 느낌이 잘 살아남.”
- “팔레트 나이프를 사용할 때 그림자가 더 깊고 생동감 있게 느껴짐.”
- 최종 메모:
- "그림자 표현이 강렬해져서 빛과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중요. 다음에는 빛의 범위를 더 넓혀볼 것."
3. 프로젝트 계획 작가노트 예시
내용:
- 프로젝트 이름: “도시 속 자연의 흔적 (Traces of Nature in the City)”
- 목표: 도시라는 인공적인 환경 속에서도 자연이 남긴 흔적을 찾아 시각적으로 표현.
- 작업 구성:
- 총 5개의 작품으로 구성: 각 작품은 도시의 다른 측면에서 자연을 재해석.
- 작품별 주제:
- 도시 빌딩 벽에 비친 나무 그림자.
- 인도 틈새에 피어난 작은 풀꽃.
- 버려진 공장에서 자라는 덩굴 식물.
- 도시의 밤하늘에 희미하게 남은 별빛.
- 공원의 연못에 비친 도심의 반영.
- 작업 방식:
- 사진과 그림을 혼합한 혼합 매체(Mixed Media) 작업.
- 배경: 디지털 프린트된 도시 풍경 사진.
- 디테일: 유화 물감을 사용해 자연 요소를 추가.
- 최종 작품은 캔버스 위에 디지털 프린트와 유화가 결합된 형태로 제작.
- 색감 컨셉:
- 도시: 차가운 회색, 블루 톤.
- 자연: 따뜻한 초록, 골드, 화이트 톤.
- 작업 일정:
- 1월: 사진 촬영 및 레이아웃 구상.
- 2월~3월: 작품 제작.
- 4월: 전시 공간 선정 및 설치 준비.
- 메모:
- “사진과 유화가 자연스럽게 어우러질 수 있도록 두 매체의 경계를 최소화할 것.”
- “각 작품에 도시와 자연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중요.”
- “전시 공간 조명까지 고려해 빛의 방향성을 반영할 것.”
이 3가지 작가노트 예시는 테마, 기술 실험, 프로젝트 기획이라는 다양한 목적에 맞춰 작성되었습니다. 각자의 작업 스타일과 창작 목표에 맞게 응용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림을 그린다는것은 자신의 생각과 철학을 이미지로 나타내는것이기 때문에 이런나의 생각을 즉흥적으로 표현다는것은 한계가 있을수 밖에 없습니다. 하나하나 작업노트에 적으면서 나의 생각과 철학을 더 깊이 정리하는것을 추천합니다.
이곳에 써놓은 내용들 하나하나 잘 읽어보고 자신의 그림에 잘 녹여나가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