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서양미술사 연대적 정리

by 미술인 2025. 3. 14.

 

1. 선사 시대 미술 (~ 기원전 3000년경)

2. 고대 문명 미술 (기원전 3000년경 ~ 기원전 5세기)

3. 중세 미술 (5세기 ~ 15세기)

4. 근세 미술 (15세기 ~ 18세기)

5. 근대 미술 (19세기)

6. 현대 미술 (20세기 ~ 현재)

 

 

1. 선사 시대 미술 (~ 기원전 3000년경)

  • 미술사조: 동굴벽화, 암각화, 거석문화
  • 대표 예술 표현: 라스코 동굴벽화(프랑스), 알타미라 동굴벽화(스페인), 스톤헨지(영국)
  • 특징:
    • 사냥과 생존을 기원하는 벽화와 조각
    • 간단한 색채(적색, 황토색, 흑색)와 단순한 형태
    • 스톤헨지 같은 거석문화의 발전으로 의식과 천문 관측

2. 고대 문명 미술 (기원전 3000년경 ~ 기원전 5세기)

2-1. 이집트 미술 (기원전 3000년경 ~ 기원전 30년)

  • 미술사조: 파라오 중심 예술, 피라미드, 벽화
  • 대표 작품: 네페르티티 흉상, 나르메르 팔레트
  • 특징:
    • 종교적 성격이 강하며 영생을 위한 미술 발전
    • 엄격한 좌우대칭과 엄격한 비율을 적용한 인체 표현
    • 상형문자와 그림을 결합한 벽화

2-2. 메소포타미아 미술 (기원전 3000년경 ~ 기원전 6세기)

  • 미술사조: 신전 건축, 부조, 점토판 기록
  • 대표 작품: 지구라트 신전, 라마수 조각
  • 특징:
    • 신과 왕을 위한 거대한 신전 건축
    • 신과 인간을 연결하는 조각과 상징적인 동물 표현

2-3. 그리스 미술 (기원전 8세기 ~ 기원전 1세기)

  • 미술사조: 아르카익, 고전주의, 헬레니즘
  • 대표 화가: 아펠레스 – 부드러운 색조, 사실적 인체
  • 대표 조각: 밀로의 비너스, 라오콘 군상
  • 특징:
    • 인체의 이상적 균형과 조화
    • 고전주의: 이상적이고 완벽한 신체 표현
    • 헬레니즘: 감정과 역동성을 강조

2-4. 로마 미술 (기원전 1세기 ~ 5세기)- 한국은 고구려 백제 신라의 생성과 번성시기

  • 미술사조: 사실주의 조각, 모자이크 미술, 건축 발전
  • 대표 작품: 판테온 신전, 트라야누스 기둥
  • 특징:
    • 그리스 예술을 계승하면서도 현실적이고 사실적인 초상 조각 발전
    • 건축기술(아치, 돔)의 발전으로 판테온 신전과 콜로세움 같은 거대한 건축물 등장

3. 중세 미술 (5세기 ~ 15세기)

3-1. 초기 기독교 미술 (1세기 ~ 4세기)

  • 미술사조: 카타콤 미술, 초기 교회 건축
  • 대표 작품: 카타콤 벽화,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당 모자이크
  • 특징:
    • 로마 제국의 박해 속에서 지하 무덤(카타콤)에 그려진 기독교 상징
    • 단순한 형태로 예수와 성인들을 묘사
    • 콘스탄티누스 황제의 기독교 공인(313년) 이후 교회 건축이 발전

3-2. 비잔틴 미술 (5세기 ~ 15세기)

  • 미술사조: 모자이크 미술, 아이콘화
  • 대표 작품: 하기아 소피아 성당, 라벤나 모자이크
  • 특징:
    • 금색과 푸른색을 강조한 화려한 성화
    • 성스러움과 영적인 분위기 강조
    • 현실적 공간감보다 신비로운 상징성 중시
  • 대표 화가:
  • 테오파네스 (Theophanes the Greek, 14세기) – 아이콘화 발전
  • 안드레이 루블료프 (Andrei Rublev, 1360~1430) – 러시아 정교회 성화
  • 두초 (Duccio, 1255~1319) – 고딕과 르네상스의 가교 역할
  • 치마부에 (Cimabue, 1240~1302) – 비잔틴 양식을 르네상스로 연결

3-3. 로마네스크 미술 (10세기 ~ 12세기)

  • 미술사조: 두꺼운 벽과 작은 창문의 교회 건축
  • 대표 작품: 생트푸아 수도원 교회
  • 특징:
    • 두껍고 웅장한 건축 스타일
    • 단순하고 강한 형태의 조각

3-4. 고딕 미술 (12세기 ~ 15세기)

  • 미술사조: 스테인드글라스, 첨탑이 높은 성당
  • 대표 작품: 노트르담 대성당
  • 특징:
    • 높고 가벼운 구조, 화려한 장식
    • 스테인드글라스를 활용한 성서 이야기 표현
  • 대표 화가:
    • 잔 반 에이크 (Jan van Eyck, 1390~1441) – 유화 기법 발전
    • 로히어르 반 데르 베이던 (Rogier van der Weyden, 1400~1464) – 감성적인 종교화
    • 한스 멤링 (Hans Memling, 1430~1494) – 플랑드르 회화 발전
    • 후고 판 데르 후스 (Hugo van der Goes, 1430~1482) – 극적인 색채와 감정 표현

4. 근세 미술 (15세기 ~ 18세기)

4-1. 르네상스 미술 (15세기 ~ 16세기)

  • 미술사조: 원근법, 해부학적 연구
  • 대표 화가: 레오나르도 다 빈치 – 명암법, 과학적 연구
  • 대표 작품: 최후의 만찬, 모나리자

 

2-1. 초기 르네상스 (15세기)

  • 대표 화가:
    • 마사초 (Masaccio, 1401~1428) – 원근법 도입
    • 산드로 보티첼리 (Sandro Botticelli, 1445~1510) – 신화적 우아함
    •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 (Piero della Francesca, 1415~1492) – 기하학적 구성
    • 도나텔로 (Donatello, 1386~1466) – 사실적 조각

2-2. 전성기 르네상스 (15세기 후반 ~ 16세기 초)

  • 대표 화가:
    • 레오나르도 다 빈치 (Leonardo da Vinci, 1452~1519) – 명암법과 해부학
    • 미켈란젤로 (Michelangelo, 1475~1564) – 조각과 회화의 완벽한 조화
    • 라파엘로 (Raphael, 1483~1520) – 조화로운 구도와 색채
    • 티치아노 (Titian, 1488~1576) – 강렬한 색채와 감성적 표현

4-2. 바로크 미술 (17세기)

  • 미술사조: 극적인 감정 표현
  • 대표 화가: 카라바조 – 강렬한 명암 대비
  • 대표 작품: 성 마태의 소명
  • 대표 화가:
    • 카라바조 (Caravaggio, 1571~1610) – 극적인 명암 대비
    • 페테르 파울 루벤스 (Peter Paul Rubens, 1577~1640) – 역동적인 구성과 풍부한 색감
    • 디에고 벨라스케스 (Diego Velázquez, 1599~1660) – 사실적인 초상화
    • 렘브란트 (Rembrandt, 1606~1669) – 빛과 감정을 표현한 인물화

4-3. 로코코 미술 (18세기)

  • 미술사조: 부드럽고 우아한 색감
  • 대표 화가: 프라고나르 – 경쾌하고 장식적인 분위기
  • 대표 작품: 그네
  • 대표 화가:
    • 앙투안 바토 (Antoine Watteau, 1684~1721) – 우아한 색채와 낭만적 분위기
    • 프랑수아 부셰 (François Boucher, 1703~1770) – 장식적이고 화려한 스타일
    • 장 오노레 프라고나르 (Jean-Honoré Fragonard, 1732~1806) – 사랑과 유희적 주제
    • 토마스 게인즈버러 (Thomas Gainsborough, 1727~1788) – 부드러운 초상화

 

5. 신고전주의 및 낭만주의 미술 (18세기 후반 ~ 19세기 초반)

5-1. 신고전주의

  • 대표 화가:
    • 자크 루이 다비드 (Jacques-Louis David, 1748~1825) – 역사적 장면 강조
    • 장 오귀스트 도미니크 앵그르 (Jean-Auguste-Dominique Ingres, 1780~1867) – 선의 우아함

5-2. 낭만주의

  • 대표 화가:
    • 프란시스코 고야 (Francisco Goya, 1746~1828) – 사회적 비판과 강렬한 감정
    • 외젠 들라크루아 (Eugène Delacroix, 1798~1863) – 강렬한 색채와 극적인 장면

 

6. 근대 미술 (19세기)

6-1. 사실주의 (19세기 중반)

  • 대표 화가: 쿠르베 – 노동자와 현실적인 장면 묘사
  • 6-1. 사실주의
    • 대표 화가:
      • 귀스타브 쿠르베 (Gustave Courbet, 1819~1877) – 노동자와 현실 표현

6-2. 인상주의 (19세기 후반)

  • 대표 화가: 모네 – 순간의 빛과 색채
  • 대표 화가:
    • 클로드 모네 (Claude Monet, 1840~1926) – 빛과 색채 변화 포착
    • 피에르 오귀스트 르누아르 (Pierre-Auguste Renoir, 1841~1919) – 따뜻한 색감과 유희적 장면
    • 에드가 드가 (Edgar Degas, 1834~1917) – 발레리나와 역동적 장면

7. 현대 미술 (20세기 ~ 현재)

7-1. 입체파 (20세기 초반)

  • 대표 화가: 피카소 – 형태 해체와 재구성

7-2. 초현실주의 (1920년대 ~ 1930년대)

  • 대표 화가: 달리 – 꿈과 무의식의 표현

7-3. 추상미술 (20세기 중반 이후)

  • 대표 화가: 몬드리안 – 기하학적 구성

7-4. 팝아트 (1950년대 ~ 1960년대)

  • 대표 화가: 워홀 – 대중문화와 소비주의 반영

결론

서양 미술사는 시대의 변화와 인간의 사상을 반영하며 발전해 왔습니다. 고대 미술부터 현대 미술까지, 미술은 단순한 표현을 넘어 인간의 역사와 철학, 문화를 담아내는 중요한 역할을 해왔습니다. 앞으로도 미술은 기술과 사회 변화에 맞춰 더욱 확장될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21세기 미술은 더 세분화되고 각각의 신념을 발산하는 미술이라고 불릴수 있겠고 미술의 영역이 아닌 주제들도 즉 삶의 평이한 주제들도 다 미술이라고 예술이라고 불리게되었다. 

20세 미술은 1900년도 부터 현대 미술이라는 불리우는 그림이다. 입체파 초현실주의 추상미술 팝아트 등등

19세기 후반 미술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고흐 고갱 세잔 르느와르 등등의 작품이 허다하다.

18세기 미술은 아직도 중세미술에서 많이 벗어나지 못하고 벗어나려는 시도가 많이 보이는 시기이다.